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3

강아지 심장사상충 증상 및 치료방법 여름철만 되면 반려견 보호자들을 긴장하게 만드는 것이 있습니다 . 바로 모기로 인한 강아지 '심장사상충'감염 입니다 . 심장사상충은 감염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서 알아차리기 어려워 자칫 반려견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 때문에 평소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심장사상충이랑 무엇인지, 만약 걸릴 경우 어떻게 치료를 하고 이후엔 어떻게 관리를 해야하는지 알아봅시다. -심장사상충이란 강아지의 심장과 폐혈관에 기생하는 기생충으로,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동물을 흡혈한 모기가 유충을 옮겨오는 과정에서 전염됩니다. 처음에는 근육에서 1개월정도 자라고, 심장으로 이동해서 수백 마리로 번식합니다. 제때 체료해주지 않을 경우 심장과 폐혈관에 가득 차 결국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 -.. 2020. 6. 4.
강아지는 색맹일까 ? 강아지가 보는 세상 National Dog Week의 창시자인 Will Judy 는 1937년 강아지 훈련 메뉴얼에서 "강아지의 시력은 나쁘고, 검은색과 회색의 음영으로 보인다" 라고 말한것이 계속 전해져 오면서 강아지의 눈은 우리와 다르게 흑백으로 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계속되어진 연구 결과는 다르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강아지가 보는 세상 강아지는 색맹일까 에 대한 주제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강아지는 색맹일까 ? 1960년대 까지만 해도 색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영장류라고 가정되어 왔습니다 . 강아지는 연구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었고, 이후 시간이 지나오면서 Neitx Color Vision Lad의 Jay Neitz가 강아지 눈 구조를 연구한 결과 강아지가 흑백으로만 보는 것은 아니고 강아지도 색.. 2020. 5. 15.
반려동물의 죽음 후 찾아오는 '펫로스 증후군 ' 펫로스(Pet Loss) 증후군 :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상실감, 죄책감, 우울증 등의 정신적 고통을 겪는 현상. 극심한 스트레스로 직장을 관두는 경우부터 심각한 경우 목숨을 끊는 사람까지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18%(약 3백60만 가구)가 총 천만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반려동물의 수가 늘어난 것은 2000년 초반부터인데요 최근 1인 가구나 딩크족이 늘면서 수는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국내 일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제 반려동물은 단순가 '동물'이 아닌 또 하나의 가족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때로는 사람보다 내마음을 훨씬 잘 알고 위로해주기에 가족이상의 유대감을 느끼는 분들이 점차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반려동물의 평균수명은 15.. 2020.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