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정보/고양이

고양이들 사이의 서열 알아보기

by an_mini 2022. 11. 4.
728x90
반응형

 

 

고양이들 사이의 서열은 미묘하게 움직이며 바뀔 수 있습니다. 서열 체계가 잘 잡혀있는 경우에는 고양이들이 서로에게 안정감과 친근감을 느끼며 평화롭게 공존합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양이들의 서열 체계가 견고하지 않다면 아슬아슬하게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캣타워 혹은 캣폴 등 을 살펴보기
 집 안에서 고양이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수직 공간을 살펴보면 된다고 합니다. 
고양이에게 있어서 ‘높이’는 서열 체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접근하고 그곳을 장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수록 높은 서열을 가진 고양이일 수 있다고 해요.
높은 곳은 고양이가 자신의 영역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우위를 다른 고양이들에게 입증해 보일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때로는 서열이 높은 고양이가 높은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다른 고양이들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줄여주는 효과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2. 방에 들어갈때 모습 살펴보기  
꼭 수직 공간이 아니더라도 고양이들이 방에 들어가는 모습 혹은 집안에서 저마다 차지하고 있는 일상적인 공간을 관찰하는 것도 서열 체계에 대한 힌트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마리의 고양이가 같은 방에 들어갈 때의 모습을 예로 들어보면 한 마리는 방 한가운데를 향해 걷고, 또 다른 한 마리는 벽과 가까운 가장자리를 따라 걷는다면 방 한가운데를 차지한 고양이가 높은 서열을 가진 고양이일 수 있다고 합니다.

 

 



3.밥먹거나 생활하는 모습 살펴보기
우두머리 고양이는 서열이 낮은 고양이를 자신의 영역으로 유인한 뒤, 무단 침입했다며 매서운 솜방망이를 날리기도 합니다. 
이처럼 서열이 낮은 ‘하위권’ 고양이들은 한꺼번에 많은 고양이가 같은 영역(집)을 공유하는 경우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따돌림을 당하거나 무리로부터 외면당하는 고양이가 발견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따돌림당하는 고양이는 다른 모든 고양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때문에 영역의 변두리에서 생활하며 몸을 바짝 낮춘 채 바닥에 붙은 듯 포복 자세로 걷기도 하고, 

다른 고양이의 접근을 극도로 꺼리며 으르렁거리기도 하죠.
심지어는 밥을 먹을 때조차도 다른 고양이들이 다 먹고 난 뒤에야 조심스럽게 식사를 시작하곤 합니다.


 

 



보호자의 개입과 상관없이 고양이 사이의 서열 정리나 그를 위한 서열 다툼은 피할 수 없는 그들의 본능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한꺼번에 키우고 있는 다묘 집사라면, 평소에 고양이들이 지내는 모습을 유심히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들의 서열을 이해하고 각각의 서열과 특성에 맞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사람과 고양이 모두 평화롭고 행복한 ‘다묘가정’을 이룰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다묘가정 고양이들의 서열 (다시 쓰는 고양이 사전)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