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정보/강아지

썰매견 '시베리안 허스키' 성격 및 특징

by an_mini 2020. 8. 27.
728x90
반응형

 

 

 

 

시베리아에서 동쪽 끝 추코트카에서 유래한 개.

가장 많은 색은 검은색-횐색, 회색-흰색의 얼굴이지만 황색 털이 있는 품종도 있으며,

머리 쪽에 독특한 무늬가 표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1900여 년에 알래스카에 알래스칸 말라뮤트와 비슷한 이유로 들여온 뒤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하여

지금은 키우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몸시 영리하고 단체생활에 익숙하여 남에게 폐 끼치는 일이 없는 개지만 어쨌건 바깥에서 지르는 타입입니다.

 

 

 

 

 

 

 

 

- 생김새

쫑긋 선 귀가 언뜻 친척인 알래스칸 말라뮤트와 닮아 보이나 허스키는 더 날렵한 늑대 같은 생김새입니다.

단 체구는 훨씬 더 작습니다. 참고로 사모예드나 그린란드 견 과도 친척입니다.

허스키와 말라뮤트는 일단은 흰색 회색 검은색 조합의 썰매개라 매우 유사하지만 가장 구별하기 쉬운 차이점은

'체구'입니다. 허스키는 진도견급으로 중형견이지만 말라뮤트는 두배 정도는 덩치 차이가 날 정도로 대형견입니다.

또한 얼굴 생김새와 표정도 다소 다릅니다.

두 종을 비교해보면, 둥긍두글하게 생겨서 사람에서 웃는 표정이면 말라뮤트고, 반면 좀 더 날카롭게 생겼으면 

허스키라고 합니다.

 

 

 

 

 

 

 

- 특징

1. 대체로 성격이 유순한 품종입니다.

매서운 눈빛 때문에 얼핏 보면 투견처럼 보이지만 겉보기와는 달리 허스키는 대체로 성격이 유순한 품종입니다.

다만, 시베리안 허스키가 순하다는 건 상대가 인간일 때 한정이고, 산책 중에 만나게 되는 동물들 중 같은 개과를 제외하고는 (길고양이나 비둘기, 닭, 오리, 쥐 등등....) 무조건 사냥감으로 인식하는 개체들도 상당수 있을 정도로 공격적입니다.

심지어 개를 먼저 공격하는 경우는 적으나, 덩치가 작고 자기 방어 기질이 높은 강아지와 접근할 경우 상대의 강렬한 

반응에 덩달아 흥분해 아차 하는 순간에 투견장이 열리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2. 썰매 끄는 개라서 힘이 좋은 편입니다.

사람을 거의 무조건 경계하고 짖으며 절대 허용치 않는 개들에 비하면 상당히 순합니다.

하지만 순하기 때문에 경호견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3. 장이 매우 약합니다.

개체 차이는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허스키 견주들은 장이 약하다는 사실에 대부분 동의합니다.

사료의 양이 평소보다 많아지거나, 사료의 양이 평소보다 많아지거나, 사료를 다른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슈퍼나 인근 마트에서 파는 저렴한 간식을 급여할 경우에 높은 확률로 지독한 냄새와 함께 거의 물에 가까운

설사가 나오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키울 때 주의사항

1. 더위를 많이 탄다.

털이 이중 모라서 더위를 굉장히 많이 타고 추운 지방에 살던 종이라서 우리나라의 여름 날씨는 허스키에게 불지옥과

다름없습니다. 

야외에서 키울 예정이라면 그늘막은 물론이고 배를 깔고 앉을 수 있는 곳에 대리석을 깔아주고, 수시로 주변에 물을 뿌려서 더위를 식혀 주어야 합니다. 만약 여름에 개집에 목줄 하나 채워서 방치할 경우 폐세활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2. 털갈이를 할 때 빠지는 털의 양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털갈이 시 빠지는 양은 20kg이 넘는 성견의 경우 검은색 비닐봉지가 가득 찰 정도의 양이 거의 매일 빠집니다.

 

3. 운동량이 많습니다.

사역견 출신답게 운동량이 많습니다.

 만약 운동량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혹여라도 목줄이 약하거나, 견사의 바닥이 흙이라면 아주 손쉽게 목줄을 끊거나 바닥을 파서 가출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4. 새끼 때부터 필수로 복종훈련시키기

성견의 경우 20kg의 중형견이다 보니 새끼 때부터 철저한 복종훈련을 시키지 않을 경우 성체가 되고 나서 통제가 안 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건장한  성인 남성도 한 손으로 통제하기 힘들 정도니 만약 여성이라면 새끼 때부터 반드시 

복종훈련을 시키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앉아"와 "기다려"는 필수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