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아파도 아픈 증상이 좀처럼 드러나지 않는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지하기 위해서 고양이의 건강을 해치는 음식들을 미리 알아두고, 주의하여 급여할
필요가 있습니다.
충분한 지식이 없는 경우, 동물병원에서 조언해주는 것처럼 물과 사료만 먹이는 게 제일 좋습니다.
1. 초콜릿
초콜릿의 테오브로민 성분은 개와 고양이에게 매우 유해합니다.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흥분하다 심장마비에 걸립니다.
소형 포유류 전반에 나쁜 영향을 끼치니 키우는 동물 종류를 막론하고 조심해야 합니다.
이 성분은 고양이가 소량을 섭취해도 경련, 구토, 발작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심할 우에는 목숨을 앗아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날 초콜릿인 카카오 닙스는 고양이가 절대 건드리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2. 백합과, 수선화과 식물
백합을 비롯하여, 모든 백합과 식물(파, 양파, 마늘, 부추 등)들은 고양잇과 동물들에게 대부분 치명적인 음식입니다.
먹을 경우 신장에서 독소로 변해서 급성 신부전증 등을 동반해 목숨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양파에 포함된 티오 황산염이 적혈구를 파괴해서 용혈성 빈혈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우유
고양이는 사람에 비해 락 테이스가 턱없이 부족해서, 유아기 이후에는 유당불내증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로 인해 사람이 먹는 우유를 먹을 경우, 설사 등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어린 고양이일 경우 탈수, 탈장 등을
동반해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 우유는 가급적 삼가시고, 고양이용 분유나 유당 분해 우유,
혹은 요구르트만 먹이는 게 좋습니다.
단 유당불내증은 어디까지나 유당을 제대로 분해 못해서 일어나는 소화불량에 가까운 증상이고, 유당이 독이 되거나 하는 건 아니니 일시적인 사료의 부족 등과 같은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물로 희석시키거나 데워서 소량을 주는 정도는 가능합니다.
4. 술
고양이에겐 에탄올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소량 섭취만으로 빠르게 취하고,
심할 경우 구토, 발작, 호흡곤란, 혼수상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술병에 흐르던 한 방울을 핥는 것도 위험합니다. 일반적인 맥주나 희석식 소주에는 덜하지만,
양주나 전통주 등은 향이 나기 때문에 고양이가 호기심에 핥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핥은 한 방울에도 구토나 눈을 제대로 못 뜨는 등 안 좋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5. 카페인
커피나 차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술과 마찬가지로 소량 섭취만으로도 중독되고 고양이의 심장과 신장에 큰 부담을 주게 됩니다.
6. 포도
포도와 건포도에는 고양이에게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는 독소가 있습니다.
고양이의 신장을 손상시켜 설사와 구토를 유발하는 것입니다.
심한 경우 급성 신부전증에 걸릴 수 있으니 만약 고양이가 포도를 먹었다면 중독의 징후로 설사, 혼수상태, 힘 빠짐 들이 나타나진 않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7. 날 것의 고기와 달걀
불에 익혀지지 않는 고기류와 달걀을 섭취하게 되면 살모넬라균이나 톡소플라스마 등의 병원균 혹은 기생충에 감염되어 식중독 등의 질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달걀흰자의 아비딘 성분은 고양이의 소화흡수를 막아 피부염이나 결막염 등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노른자는 충분히 익힌 후에 소량 줘도 됩니다.
다만, 날고기가 위험하다고 해서 고양이에게 고기를 익혀서 주려해선 안됩니다.
고기를 익혀버리면 타우린 성분이 파괴돼버려서 오히려 날고기를 주는 것보다 좋지 못합니다.
이 항목에 적혀있는 음식들은 고양이가 소량이라도 섭취하게 되면 독이 되는 음식들을 주로 작성해 놓았지만,
지정된 사료나 간식들을 제외하고 무언가를 먹이고자 할 때는 꼭 동물병원에서 수의사에게 상담하거나
살펴보고 먹이도록 해야 합니다.
'소소한정보 > 고양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 왕실 의 '샴 고양이' 특징 및 성격 (0) | 2020.09.10 |
---|---|
고양이 키우기전 집사가 꼭 알아야할 주의사항 (0) | 2020.09.04 |
고양이를 키워야하는 7가지 이유 (0) | 2020.09.03 |
표범고양이라 불리는 '벵갈 고양이' 특징 및 종류 (0) | 2020.08.31 |
외모가 가장 아름다운 고양이 '노르웨이 숲' (0) | 2020.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