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에 자주 걸리는 감기, 환절기에도 걸리기 쉽습니다.
감기는 사람들에게도 많이 걸리는 질병 중 하나인데요. 강아지들도 마찬가지로 감기에 걸리기도 합니다.
강아지들의 감기에 대해서 자제히 알아봅시다.
감기증상
1. 식욕이 없고, 잘 놀지 않습니다.
강아지들이 아프면 가장 먼저 나타는 증상입니다. 보통 감기로 인해 열이 나면 식사를 거부하게 된다고 하니 주의깊은 관찰을 해야합니다.
2. 몸이 평소보다 뜨겁고 열이 나며 덥지 않은데도 헥헥 거립니다.
열이 난다는 것은 기관지에 염증이 시작되었다는 신호이므로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셔야 하는데요. 강아지는 평균 체온이 38.5도 이기 때문에 열이 나는지 안 나는지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체온기ㄹ를 구비해 놓으면 좋습니다 .
또, 차가운 장소를 찾아 엎드린다거나 호흡이 가빠지지거나 소변의 양이 줄고 색이 평소보다 진해지며, 강아지가 등을 구부리고 있고 혀가 붉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목에 무언가 걸린 것처럼 캑캑 거려요.
강아지가 캑캑 거리는 것은 무언가 걸린 것이 아니라 강아지가 "기침"을 하는 소리입니다. 강아지가 기침을 시작하게 되면 금세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에 방문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4. 코에 콧물이 맺히거나 흘러요.
감기의 초기 증상 중 하나인데요. 심하지 않을 경우,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잘 먹이기만 해도 완화될 수도 있으나 이틀이상 지속될 경우 병원에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기관지염을 동반한 기침인지 알아보는 방법*
손으로 알밤을 때리듯이 목에 톡톡 자극을 줄 때 강아지가 켁 하고 기침을 한다면 염증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감기예방법
1. 체온 조절 해주기
강아지의 체온이 사람보다 높긴 하지만 강아지들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어야 건강할 수 있습니다.
따듯한 이불을 깔아주거나 옷을 입히고, 기관지가 약한 아이들은 창가에서 재우지 않도록 합니다.(강아지에게 스카프를 둘러주거나, 따듯한 손난로를 강아지가 자는 곳에 두세요) 날씨가 너무 추울 때는 외출을 자제해 주시고 갑작스러운 체온 변화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여름에는 선풍기/에어컨 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2. 적당한 습도 조절과 쾌적한 공기를 만들어주기
사람과 마찬가지로 건조한 실내는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습도를 잘 유지하고 하루에 한 번은 환기를 시켜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 강아지의 갑작스러운 체온 변화는 늘 조심하셔야 합니다.) 또 바닥 청소도 자주 하여 먼지가 없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면역력 키우기
여러가지 질병에 쉽게 걸리지 않기 위한 것은 바로 면역력인데요. 적당한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면역력을 키워주는 것 건강을 위해서 지켜주세요 .
감기 치료
1. 병원 방문
병원에 방문하여 예방 주사 및 감기 주사 등을 맞거나 약을 타서 초기에 잡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
2. 부드러운 음식 급여와 간식은 조금만 주기
강아지가 열이 있으면 식사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는 북어국이나 닭고기 야채죽 등의 보양식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약의 소연 성분은 변비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딱딱한 간식을 주기 않는 편이 좋습니다.
3. 충분한 수분 섭취와 습도조절
소염제가 들어간 약을 먹으면 물을 자주 먹게 되는데요. 미지근한 물을 매일매일 갈아주세요 .또한 가습기 사용이나 빨래를 널어 습도를 조절하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강아지가 가습기 바로 아래서 자지 않도록 하셔야 합니다.
4.몸을 따뜻하게 해주기
당문간 목욕 , 산책은 금지하고 몸에 스카프 등을 둘러주시면 좋습니다. 단, 너무 더운 것도 좋지 않으니 반려견의 상태를 자주 관찰하셔서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해 주세요. 무엇이든 사람보다 강아지들에게 치명적입니다. 작은 질병이라도 꼭 미리 예약해주셔야 합니다.
'소소한정보 > 강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에게 꼭필요한 치아관리 하는법 (0) | 2020.04.23 |
---|---|
겁많고 소심한 강아지 교육방법 (1) | 2020.04.22 |
강아지의 거짓말/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데 짖는 이유 (0) | 2020.04.19 |
새끼 강아지 키우기 주의할점 (1) | 2020.04.18 |
강아지에게 사료를 얼만큼 먹여야할까요? (0) | 2020.04.17 |
댓글